박진영을 비롯한 작곡가들은 어떻게 왜 표절을 하는가?
![](https://blog.kakaocdn.net/dn/vjRVH/btrLLx5PCVn/kKI2kkfNbhyKoBbb2SXRWK/img.jpg)
박진영 '엘리베이터', '허니', '왜 왜', '니가 사는 그 집' 등은 표절로 의심받거나 표절 판정을 받은 바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sSZAK/btrLLgwqNwB/z3IcPyyqJfX4QT5mtxeq3K/img.jpg)
표절을 잘하기 위해서는 작곡을 어떻게 하느냐를 알아야 한다. 킥드럼은 음악에서 하나의 큰 기준점이자 어찌보면 박자 그 자체다. 표절도 나름 공을 들여야 한다. 로렉스 sa급시계를 만들기 위해서는 로렉스 시계를 분해하고 조립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 것과도 같다.
![](https://blog.kakaocdn.net/dn/pWQUC/btrLNwLRrRU/TPNSkDGK8Z0drfkXN1hhwK/img.jpg)
심플한 UI에 다양한 톤의 Clap 톤의 구성을 이해하고 나면 표절은 쉽고 표절에 걸리는 건 어려운 짝퉁이 만들어 진다.
![](https://blog.kakaocdn.net/dn/HoB6y/btrLLhvnNc4/RRT3QHGQ8A0RC2MhvkEep0/img.jpg)
한번만 들어도 계속 흥얼거리게 되는 중독성 강한 표절 곡을 만드는 작곡가들은 매우 치밀하다. 음악저작물의 실질적 유사성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저작권법 상 표현의 대상이 되는 일반적인 요소로는 가락, 리듬, 화음 3가지가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bo4Wlp/btrLK2d7Pbf/vu3STbQqLPYWJmkntaS34k/img.jpg)
표절을 잘하는 작곡가들은 음악을 만든 계기가 아니라 음악의 표현을 중요시한다. 그래서 그들이 하는 음악에는 그들의 삶이 배제 되어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B18KO/btrLK2yrVqR/QEhAPtZPXLZJ1cGG9k9d0K/img.jpg)
음악은 본래 주술이고 마술이다. 표현과 소통이다. 그러나 음악을 하지 않는 사람들에게는 기술이 전부다.
![](https://blog.kakaocdn.net/dn/Wk2my/btrLMwyzLee/Ig2glmZlilSQqDd1yw6XeK/img.jpg)
표절 작곡가에게 음악은 몇 개의 음들을 구성해 멜로디로 만든 기술 일 뿐이다.
![](https://blog.kakaocdn.net/dn/b8ncUV/btrLKxZZF1X/7zkQTXjbl4ZvryAmld58YK/img.jpg)
표절 의혹을 받는 작곡가들이 인간이 겪는 경험의 유사성을 이야기하지 않고 장르의 유사성을 유독 많이 이야기 하는 점을 주의 깊게 관찰해 볼 필요가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cF23vx/btrLLWj1xTx/GEJixhS121oCcns9m1spNK/img.jpg)
그들은 그들의 경험에서 노래를 찾는 게 아니라 그들이 즐겨 듣는 노래에서 노래를 찾는다.
![](https://blog.kakaocdn.net/dn/b6BLw6/btrLKELpWm0/PkgH8dxDTSys5HfsVRVNH1/img.jpg)
표절은 잡기도 힘들고 표절을 잡기 위한 공력에 비해 턱없이 과소한 결과가 나온다. 쉽게 큰돈을 만질 수 있지만 리스크는 적은 게 표절이다.
![](https://blog.kakaocdn.net/dn/s5CA5/btrLOl4q5LC/FGiZEqMLQYIvf23PI2PlN1/img.jpg)
모든 곡을 직접 단독으로 작사·작곡한 싱어송라이터로서의 면모에 대중들은 열광한다. 많은 고민과 노력으로 탄생한 음악이 아닐지라도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