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NASA
하지만 미국 미시간대학과 네덜란드 우주연구소 연구팀이 이끄는 프로젝트인 ASAS-SN(All-Sky Automated Survey for Supernovae)이 엑스선 3개를 망원경으로 다른 파장에서 확인, 조석 파괴 현상 발생 과정 관측에 성공했다. 이번에 관측한 건 지구에서 2억 9,000만 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은하인 PGC 043234 중심에 있다.
태양보다 수백만 배에 달하는 질량의 블랙홀에서 발생한 조석 파괴로 최근 수십 년 사이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서 발생한 것이다. 실제로 조석 파괴 현상이 발생한 건 지난 2014년 11월. 연구팀은 이번에 관측된 결과는 조석 파괴 당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이해하기 위한 최고의 기회였다고 말한다.
나사는 이 프로젝트에서 수집한 관측 데이터를 렌더링, 조석 파괴 현상을 재현한 애니메이션 동영상을 공개했다. 빛나는 별이 블랙홀 옆을 지나가고 별과 블랙홀 거리가 짧아지면 별은 강력한 중력 탓에 블랙홀에 가까운 쪽이 빨려 들어가기 시작한다. 산산조각이 나면서 빨려 들어가면 원형을 그리며 블랙홀에 떨어진다. 별을 흡입하는 동안 별의 잔해로 만들어진 원반이 나타나고 중앙에선 푸른빛이 방출된다. 어두워지고 밝아지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중심에서 가스 같은 게 나온다. 이렇게 빛을 발하는 상태는 몇 년 동안 계속된다.
2020국내 검색 포털 점유율... 네이버 검색 점유율 계속 하락// 구글 다음 나란히 상승세 (0) | 2020.03.18 |
---|---|
'인공태양'의 시작 1968년 '토카막 장치' (0) | 2020.03.17 |
세계 과학사 최초 ‘실제 블랙홀’관측 / 케이티 보우만 (Katie Bouman) 블랙홀을 촬영하는 방법 (1) | 2019.04.11 |
미항공우주국(NASA)이 2021년 화성 대기 소형 '헬리콥터' 예상 비행모습 영상 (1) | 2019.04.01 |
[네이버] 독점 그리고 대기업 독점에 대해서 이야기 해야 할 때...... (1) | 2019.03.10 |
댓글 영역